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초보자 통장 쪼개기 전략: 목적별로 계좌 분리 하기

by byNK 2025. 5. 21.

왜 통장 쪼개기가 필요한가?

매달 월급이 들어오지만, 통장에 돈이 들어 오자마자 통장이 텅 비는 경험, 누구나 한 번쯤 겪었을 겁니다. 이런 문제는 대부분 한 통장에서 모든 지출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돈이 어디로 얼마나 빠져나가는지 알 수 없어 계획적인 관리가 불가능한겁니다. 이럴 때 쓸수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 바로 ‘통장 쪼개기 전략’입니다. 월급을 목적별로 여러 통장에 나누어 관리하면, 계획적으로 소비하고 저축이 가능해집니다. 이렇게  ‘돈이 모이는 구조’가 만들어집니다.

 

가장 기본적인 4개의 통장 구조

통장 쪼개기의 기본은 심플하게, 복잡하지 않게 시작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기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1. 수입 통장: 월급이 입금되는 계좌, 다른 목적의 계좌로 이체, 잔고는 0 유지
  • 2. 고정지출 통장: 월세, 보험료, 통신비 등 매달 고정으로 빠지는 비용 전용 계좌
  • 3. 생활비 통장: 식비, 교통비, 여가비, 꾸밈비 등 변동성이 있는 지출 관리
  • 4. 저축·투자 통장: 저축 또는 투자를 위한 목적의 계좌

이렇게 통장을 나눠 놓으면 돈의 흐름이 눈에 보이기 시작합니다. 특히 고정비와 변동비를 분리하면 아무래도 과소비를 예방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실제 사례: 월급여 300만원 직장인의 통장 나누기

월급여 300만원인 직장인은 다음과 같이 통장 나누기를 실행해볼 수 있습니다.

  • 고정지출 통장: 97만 원 (월세 50만원 + 통신비 7만원 + 보험 20만원 + 기타 20만원)
  • 생활비 통장: 83만 원 (식비 33만원 + 교통비 10만원 + 여가비 20만원 + 꾸밈비 20만원)
  • 저축, 투자 통장: 80만 원 (파킹통장 20만 + 정기 적금 30만 + 주식 투자 30만)
  • 비상용 여유자금 통장: 40만 원 (예상치 못한 비상상황을 위한 통장))

여기서 중요한 것은 기재된 금액이 아닙니다. 어떤 목적에 따라 통장을 나누고 금액을 배분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수입 수준에 따라 비율만 조정하면 누구나 적용할 수 있습니다. 지출이 많은 부분이 눈에 들어오면 그 부분을 줄여 저축, 투자를 늘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통장 쪼개기를 시작할 때 유의할 점

  • 수수료 체크: 주거래 은행을 이용하여 잦은 이체시 수수료를 아끼세요.
  • 자동이체: 자동이체일은 월급 다음날로 설정하세요.
  • 불필요한 통장 개설 자제: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통장은 4~6개 사이로 유지합니다.

 

기본 4개의 통장구조 유지후 목적별 통장 추가 가능

기본 구조에 익숙해지면, 다음과 같은 통장을 추가해 더욱 세분화된 재무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 여행 준비 통장 – 한번에 큰 목돈이 들어가는 여행을 위해 모으는 통장.
  • 자기계발 통장 – 개인 취미 그리고 자격증이나 강의 또는 책등의 구매를 위해 모으는 통장.
  • 이벤트 지출 통장 – 각종 경조사, 생일 등 기념일, 명절등에 필요한 지출 대비 통장.

 

마무리

재태크의 기본은 돈을 버는 것에서 시작 하지만, 지출을 관리하고 저축하는 습관을 만드는 것입니다. 통장 쪼개기는 그 구조를 만드는 가장 쉬운 방법이며, 누구나 당장 큰 노력 없이 시작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간단한 실천에서 부터 시작됩니다.

댓글